[사설]지방대육성사업, 실천계획과 노력 필요
[사설]지방대육성사업, 실천계획과 노력 필요
  • 편집국
  • 승인 2007.05.25 13: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후 일관되게 추진되고 있는 정책 중의 하나가 지방분권 및 지방대학육성에 관한 것이다. 신년도 예산으로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지방대육성 자금은 올해와 비교해 본다면 가히 획기적이라 할 정도로 증가할 것이 분명하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구체적 방안으로서 지역발전의 선순환 구조의 확립을 위한 중추기지로서 지방대학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자립형 지방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런 저런 정황에 비추어본다면 현정부가 지방대학육성에 대한 의지와 추진력은 과거와 다르게 평가할 만한 내용을 갖추고 있다.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라는 말은 이제는 구호가 아니라 실천에 옮겨야 할 행동계획으로 우리에게 다가선 것이다.
이를 위한 지역별 대응방안도 상당히 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에서 요구한 적은 없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산.학.연이 결합된 지역산업 클러스터(Cluster)를 중심모델로 설정하고 개별 특성화영역을 포함한 지역혁신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충청지역의 경우는 충남북지역의 대학, 지방정부, 대덕단지를 포괄하는 첨단산업 전략클러스터의 구축에 힘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부산경남지역의 동남혁신클러스터, 전남광주의 협력클러스터 등 모든 지역에서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대학을 포함한 대구경북지역에서는 일각에서 논의는 되고있지만 주도적 추진체계가 형성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우리대학 내부에서도 산학관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기획연구위원회를 구성하고 경북도와 분권화추진을 위한 협력과제들을 토의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경북대의 경우 대구시와 관련된 사안에 대해 몇 가지 과제들을 추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지역과 대학의 대응이 더구나 지역혁신에 대한 처방이 이런 정도라면 이는 지방의 위기, 지방대학의 위기에 대한 심각한 자기반성이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새로이 대두되는 지역혁신 프로그램이 이제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을 받기 위한 것이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또다시 자기주장만을 관철하고자 한다면 그래서 막대한 자금을 사용하고도 별다른 성과가 없는 것이라면 차라리 정부예산을 아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역혁신을 위한 협력이 단순히 지역적 근접성만을 기초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선적으로 그러한 협력행위에 의도적으로 참여하고자하는 주체들의 의견을 집약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시급하게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중요하게 지적되어야할 사항은 이러한 지역혁신, 지방대학육성 프로그램에 부합하는 대학내부의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현재 많은 지방대학은 정원 미충원, 학생의 질저하, 재정고갈, 낮은 취업률 등이 반복되는 악순환구조에 허덕이고 있다. 우리대학의 경우도 이러한 암울한 전망에서 예외일 수는 없는 것이다. 지역혁신프로그램은 이러한 대학위기의 본질과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지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학내부의 장기적 발전계획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점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지방자치단체의 요구에 적당하게 부합할 수 있는 아이디어의 수집 정도로서는 어떠한 혁신적 성과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대학본부는 이러한 혁신프로그램에 부응하는 굵직한 장기실천계획을 시급히 완성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계획이 지역혁신에 부합되는 것인지에 대한 검증작업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 이루어지는 교육을 통해 대학이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화에 기여하게 될 때 자립형 지방화의 완성에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여겨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