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라! 학부제, 어서 와요~ 업그레이드 학과제
잘 가라! 학부제, 어서 와요~ 업그레이드 학과제
  • 편집국
  • 승인 2007.05.18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3년 학부제 진단
학부제는 김영삼 정권시절 문어발 식으로 늘어난 학과가 제 역할을 이행하지 못하자 학문적 경쟁력을 북돋우기 위해 도입됐다. 전공교육의 또 다른 목적이 다양한 사회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점에서 대학의 학부제 도입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98년 시행이후 올해로 6년째를 맞고 있는 학부제는 최소 전공학점제, 복수전공과목과 전과 허용, 학과의 무차별적 통폐합, 입시 모집단위의 광역화 등을 통해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기업에서는 최소 전공학점제 실시로 전공이수에 대한 불신이 쌓여가고 복수전공자가 증가할수록 강의실 안의 학생수가 증가하는 등 교육환경도 악화되어 가고 있다. 김도훈 문과대 학생회장(철학4)은 “철학과의 경우 원래 정원이 40명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2학년은 26명, 3학년은 15명에 불과하다”고 말해 인기학과와 비인기학과가 극명한 대비를 이루고 있다.


“정부정책에 대학의 목소리를 높여라”

원래 학부제란 “공통된 학문의 영역 속에서 학과나 전공을 두어 기초에서 세분화된 전공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육체계”를 말한다. 임희성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학부제 본래 취지에는 찬성하지만 우리나라에 도입될 당시 변화된 부분이 있어 오늘날 문제가 제기되는 것 같다”고 학부제 시행의 문제점을 지적
했다.
정부는‘학부제 및 모집단위 광역화’를 추구하는 대학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행·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들의 경우 이러한 국가 정책을 깊은 고민없이 획일적으로 도입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학부제 모습은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최근 정부는 “기본 정책은 그대로 유지하되 도입단계에서 불합리하게 시행된 부분은 개선할 방침”이라며 전공 예약제를 허용하는 등 기존의 강경한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다. “가능하면 대학 자율에 맡기도록 하겠다”는 신임 교육부장관의 교육관도 이를 뒷받침해 주는 듯 하다.
얼마 전 문과대는 학부제 1차 개선방안을 두고 학부제 완전 폐지·전학부학과제로의 전환 등을 요구하며 학생과 교수가 함께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문과대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부제에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약 82%가 ‘부정적이다’라고 답했고 ‘전공 선택권은 보장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에는 87%가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또 현행 학부제 개선 필요성 여부에 대해서는 94%가 긍정적으로 답했고 84%가 학과제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공대의 경우 이미 92년부터 학부제 움직임이 있었다. 기계설계학과와 기계공학과를 기계공학부로 통합한 것이 그 시작이다. 김용민군(전자공학4)은 “공대는 현재 기계공학부나 건축학부처럼 한 학부에 한 개의 전공이 존재하는 곳이 많다. 그래서 학부제의 문제점을 깊이 인식 못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또 “공대에서 학부제의 폐단이 가장 심한 곳이 토목도시환경공학부와 전자정보공학부”라며 “전자정보공학부는 BK21 사업과 관련돼 학과제로의 이동이 어렵지만 본부가 BK21 사업을 포기하더라도 학과제로 다시 회귀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부 단대의 학과제 전환, 전과인원 증설 등 문제점 보완은 필수”

현재 본부는 학부제에 대한 각 단대 제시안을 가능한 한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본부의 자세는 긍정적이나 학부제로 전환될 당시 제기됐던 지나친 학과의 세분화, 인접학문간의 교류 어려움 등 학과제의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서희돈 교무처장(전자정보공학부)은 “특정학과에 입학해 적성이 맞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학교를 다녀야만 했던 학과제의 문제점을 전과인원을 늘리면서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문과대 한 교수는 “모집단위와 교육과정을 단대 자율에 맡기도록 해야한다”고 말해 신축적인 단대 행정을 통해 학과제의 부족함을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학부제 파동은 우리대학 실정과 다른 외국 제도의 무분별한 도입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자세히 보여준 한 예이기도 하다. 정부의 정책에 무조건 응하기보다 각 대학이 비판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