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대학에 입학하고 학보사에 들어와 직접 기사를 쓰고 관심을 가지면서 ‘어느 저널리스트의 죽음’이라는 책을 읽고 생각이 달라졌다. 이 책은 손석춘 전 한겨례 기자가 집필한 것으로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저널리즘에 대해 비판하는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단순히 언론에 대한 얘기만 듣다가 실제 사례를 분석한 자료를 보니 더욱 실감이 났다. 그리고 지난달에 논란이 됐던 ‘이명박 대통령의 사저 논란’과 ‘10·26 재보궐 선거’에서 나타난 신문들의 모습은 아주 실망스러웠다.
우선 ‘이명박 대통령 사저 논란’은 임태희 청와대 비서실장이 사의를 표명하고, 사저에 대한 규모를 축소하면서 일단락되었지만 여당 뿐만 아니라 야당인 민주당 까지 재검토 요청을 하기도 했다. 이처럼 사저 논란은 정치계에서는 아주 큰 파장을 일으켰고, 이러한 소식을 들은 시민들과 네티즌들은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하지만 저널리즘은 이처럼 큰 사건에 대해 청와대의 해명과 야당이 제기한 의문을 그대로 전달하는데 그쳤다.
뿐만 아니라 이번 10·26 재보궐 선거에서도 ‘언론의 객관성’은 비참하게 무너졌다. 소위 보수언론이라고 불리는 조선·동아·중앙일보는 누구랄 것도 없이 ‘학력위조’와 ‘시민단체 시절 기업기부 논란’등을 통해 박원순 야권후보 비난에 집중했다. 반면 진보언론이라고 불리는 한겨례와 경향신문은 ‘피부관리실 논란’과 ‘일본 자위대 행사’등을 통해 나경원 후보를 비난하는 데 힘썼다. 이 부분에서 문제는 그러한 비난이 구체적인 근거에 기초한 사실이 아니라 누군가 제기한 의문과 추측이라는 점에 있다.
국민들은 알권리가 있고 언론은 국민들의 알권리를 충족시켜줘야 할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저널리즘은 점점 병들고 있다. 국민들에게 편향된 시각을 제공하고 정확한 근거에 따라 사실을 적는 것이 아닌 일종의 추측, 소문에 의존하여 기사를 작성해 그것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떠들어대고 있기 때문이다.
학보사의 기자생활을 한 지 1년하고도 6개월이 지났다. 생각해보면 그동안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과연 우리 신문은 독자들과 취재원의 알권리를 충족시켜줬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한해 신문 중 2번의 발행만 앞두고 있는 이 시점에서 늦은 생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자칫 잊고 있었던 저널리즘의 객관성에 대해 한번 생각하는 기회가 됐고, 앞으로 남은 두 번의 신문 그리고 내년 신문 제작에 있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 언론들의 저널리즘 객관성은 저하됐다고 볼 수도 있지만 대학 언론사 저널리즘의 객관성은 우리의 노력으로 지켜낼 것이다.
저작권자 © 영남대학교 언론출판문화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