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담, 소외된 국가들의 입장을 생각하고 인류사회의 진정한 공존을 모색해야
G20 정상회담, 소외된 국가들의 입장을 생각하고 인류사회의 진정한 공존을 모색해야
  • 허창덕 교수(사회학과)
  • 승인 2010.11.03 17: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974년 오일쇼크로 전 세계 경제가 휘청거리자 당시 선진 6개국(미국·프랑스·영국·독일·일본·이탈리아) 정상들은 프랑스 랑부예에 모여 대책을 논의하고 캐나다를 합류시킴으로써 G7 체제가 정착되었다. 이후 매년 회원국들이 돌아가며 회의를 열고, 경제문제 뿐만 아니라 국제적 분쟁을 비롯한 많은 정치적 현안들을 다루게 되었다.

1997년이후 러시아가 정식 가입함으로써 G8이 되었지만, 1997년 아시아의 외환위기 직후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국제협력 필요성이 대두되어 1999년 G7국가와 브라질·인도·중국·한국등 주요 신흥국의 재무장관이 모여 회의를 열고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회의에 합의하게 되었다. 이후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를 계기로 미국은 G20 재무장관회의 참가국 정상들을 워싱턴으로 초청해 국제 금융위기 극복방안을 논의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G20정상회의의 시발점이 되었다.

다음주 11일부터 개최되는 서울 G20정상회담은 워싱턴, 런던, 피츠버그, 토론토에 이은 제5차 정상회담인 셈이다. 세계경제질서를 관리하고 규칙을 만드는 최상위협의체로서의 G20정상회담이 서울에서 개최된다는 사실은 국가브랜드 가치의 제고, 선진국과 개도국의 가교역할, 나아가 새로운 국제질서의 창출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가 크다.

오천년이라는 장구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우리민족은 항상 우리자신의 선택적 의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변 열강들의 힘의 논리에 의해 그 운명이 상처받고 또 영향을 받아왔음을 상기할 때 이번 서울정상회담은 우리의 국격이 그만큼 신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전 세계인의 눈이 이미 서울로 쏠리고 있는 이번 G20정상회담에서는 크게 두 가지 의제가 다루어질 전망이다. 첫째는 기존의제로서 거시경제정책공조, 금융규제개혁, 국제금융기구 개편이고, 둘째는 우리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개발이슈와 글로벌금융안전망이다.

이들 의제는 먼저 세계경제가 자본주의체제로 진입한 이래 누적되어왔던 국제 금융체제의 모순에 대한 뒤늦은 대응이지만, 차후에라도 이러한 문제를 예단하고 방지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의미한다.

나아가 외환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도 모색하게 된다고 하니 우리위상에 대한 자부심이 실로 벅차다.

하지만, 2007년 기준으로 지구상엔 237개국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염두에 두어야 한다.

누군가의 의지에 의해 우리의 운명이 속박당한 경험이 있듯이, 자칫 소외감을 느끼고 있을 국가들의 입장과 설움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전 세계 10%도 되지 않는 국가들의 입장과 이익을 우선하는 정책이나 전략이 수립된다면, ‘그들만의 리그’라는 국제사회의 비판은 훗날, 고스란히 ‘서울’의 부담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누군가 만들어놓은 고삐를 당위인양 받아들이며 살아온 우리의 지난 경험이 모쪼록 이번 서울정상회의를 통해 소외된 국가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동시에 인류사회의 공존을 위한 진정한 희망, 발전에 대한 구체적 청사진을 제공해 줄 수 있기를 소망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