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원회 대구지역사무소 권혁장 소장
인권위원회 대구지역사무소 권혁장 소장
  • 김현진 기자
  • 승인 2009.12.06 00: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87년, 독재정권 아래에서 세상이 신음하던 시절에 한 청년이 있었다. 평범했지만 꿈이 있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겠노라는. 그리고 20년이 지났다. 그는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달리고 있다. 바로 인권위원회 대구지역사무소(이하 인권위) 권혁장 소장이다.

 

10년만에 졸업한 대학

권혁장 소장은 우리대학 출신이다. 1987년에 전기공학과에 입학했지만, 시대는 그를 공부만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 그해에는 박경철 고문치사사건이 있었고, 6월 민주화 항쟁이 있었다. 국민들은 자신들의 손으로 대통령을 뽑길 원했다.

그는 열심히 시위를 쫓아다녔다. “고등학생 때부터 워낙 사회에 비판적인 학생이었기 때문에 시위에 대한 거부감이 없었어요. 큰 계기 없이 쫓아다녔죠.”

결국 3학년을 마치고 제적을 당한 뒤 군대를 다녀오고 나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1996년도에 ‘참여민주사회를 위한 청년광장’을 만들어 활동하다가 대구참여연대를 만들게 됐다. “청년운동만으로는 지역사회를 바꾸는데 한계가 있었죠. 경륜이나, 사회적 영향력도 부족하구요. 그래서 1998년에 대구참여연대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그 뒤 그는 대구시민단체들의 연대기구인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에서 활동하다가 06년 지금의 인권위 사무소로 오게 됐다.

우여곡절 인권위, 지금은 3년째 

06년부터 인권위 대구사무소는 대구․경북지역에서 지역민의 권리구제 활동과 인권교육사업 등을 하고 있다. 이전에는 인권침해 사례가 접수되면 서울에서 조사관이 내려왔으나 대구사무소가 생긴 이후 이런 불편함이 없어지게 됐다. “서울에서 청송교도소를 조사하려면 이틀쯤 걸릴 겁니다. 하지만 저희는 하루 안에 다녀올 수 있죠.”

07년 말, 사무소는 위기에 처하게 된다. 행정안전부에서 인권위를 50% 축소하고, 지역사무소를 폐지하라는 통보가 내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사회의 반대로 방침을 철회시켰다. “인권위 인원을 20%축소하여, 지역사무소는 유지하되 내년에 재평가 받는 것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지역시민단체의 도움이 컸죠.”

지역민들의 인권침해를 조사하고 이를 예방하는 것이 주된 일이지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인권친화적인 학교만들기 시민공모전’과 ‘생활속의 인권찾기’사업이 그것이다. “20대에서 50대까지 모여 인권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을 하기도 하고, 저희가 시민들과 직접 부대끼기도 하죠. 시민들의 지혜와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고 저희가 배우는 것도 많습니다.”

잘 쓰이는 사람이 되고 싶다

인권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어떤 이는 차이에 대한 존중이라고도 하고, 배려와 사랑을 말하는 이도 있다.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자비를 들기도 한다.

“저는 삶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사람’이라는 단어를 줄이면 ‘삶’이 됩니다. 사람 인(人)자가 두 사람이 서로 기대고 서 있는 모습이잖아요? 삶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죠. 그 관계 속에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꿈을 묻자 그의 입에서는 겸손한 대답이 흘러나왔다. “잘 쓰이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사회에 잘 쓰이고, 사무소에서도 잘 쓰이고. 인권 공직자로서 제 일에 충실한 것이 잘 쓰이는 것이겠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